본문 바로가기
이슈와 정보/생활 · 정보

[서민금융정보 시리즈 ①] 햇살론뱅크, 최대 대출한도 2,500만원까지 늘렸다

by momosis 2022. 10. 19.
728x90

저소득, 저신용자 서민을 위한 대출금융상품 '햇살론뱅크'

대출한도는 최저 500만원 ~ 최대 2,500만원으로 제공되는 햇살론뱅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올해 말까지만 한시적으로 증액된 상황이라, 관심있으신 분들은 해당글 정독 후 바로 행동에 옮기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햇살론뱅크는 정책서민금융상품을 이용했던 저신용·저소득 서민에 대해 제공하는 금융상품입니다. 아래의 간단정리를 훑어보신 다음, 찬찬히 세부 조건 등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은행권 출연금과 복권기금으로 운영되는 국가 차원의 금융상품인데다 보증료 우대 혜택도 있다고 하니 꼼꼼하게 알아보시고 조금이라도 더 적은 비용으로 대출을 이용하실 수 있길 바랍니다.

 

글 순서입니다.

  1. 햇살론뱅크 간단정리
  2. 지원자격
  3. 대출한도, 기한, 상환방법
  4. 금리정보
  5. 가입방법
  6. 제출서류

 

햇살론뱅크 간단정리

구분 상세내용
지원대상 정책서민금융상품* 6개월 이상 이용한
현재 정상이용 중인 자 (또는 정상완제후 1년이 경과하지 않은 자) 이면서
부채 또는 신용도가 개선된 저소득·저신용자
대출한도 최저 500 ~ 최대 2,500만원 ('22.2.25~12.31일 한시적 증액)
대출기간 3년 또는 5년
대출금리 연 3.2~8.7%대 (보증료 별도, 변동가능)
보증료 연 0.9~2%

 

나도 햇살론뱅크 지원받을 수 있을까?

  1. 정책서민금융상품*을 6개월 넘게 이용 중인 경우 혹은 모두 완납한 후로 3년이 지나지 않은 경우
  2. 저소득·저신용자인 경우 (신용평점과는 무관하게 연소득이 3,500만원 이하이거나 신용평점이 하위 20%에 해당하면서 연 소득이 4,500만원 이하인 경우)
  3. 부채 또는 신용도가 개선된 경우 (보증신청일을 기준으로 했을때 최근 1년 동안의 가구내 대출잔액이 감소했거나 신용평점 KCB, NICE가 상승한 경우)  

* 정책서민금융상품 : 새희망홀씨, 미소금융, 금로사햇살론, 사업자햇살론, 햇살론15, 햇살론17, 안전망대출 1,2, 햇살론뱅크, 바꿔드림론, 햇살론뱅크

 

위의 요건을 갖췄는지 아닌지 애매하다면, 대출신청을 하기 전 자격대상 여부를 조회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① 스마트폰에서 서민금융진흥원 앱을 검색, 다운로드하시고 회원가입 합니다.

② 햇살론뱅크 항목에서 필요정보를 기입한 후 사전조회를 클릭합니다.

③ 클릭 후 대상자, 미대상자 여부 확인이 바로 가능합니다.

 

얼마나, 언제까지 빌릴 수 있을까?

  1. 대출한도 : 최저 500만원 ~ 최대 2,500만원 
  2. 대출기간 : 3년 (거치기간 1년 + 원리금 상황기간 2년) 또는 5년 (거치기간 1년 + 원리금 상환기간 4년)
  3. 상환방법 : 중도상환수수료 없이 원리금균등분할상환

 

금리는 어떻게 되나요?

  1. 대출금리 : 연 3.2 ~ 8.7% (은행별, 이용자별 상이합니다.)
  2. 은행금리 : 연 4.1 ~ 10.7% (0.9~2%의 보증료율이 포함되기 때문에 대출금리 대비 높습니다.)

단, 은행별로 자율적으로 성실상환자에 대해 우대금리를 제공하고 있으니 확인하셔야 되겠습니다. 그리고 보증료 우대 혜택 해당자 여부도 확인하셔야 하는데요. 

우대 혜택 해당자 우대 혜택
사회적배려대상자* 1%p 인하
금융교육·컨설팅 이수자 0.1%p 인하
연소득 3,500만원 이하 청년(만 19~34세) 0.5%p 인하

* 한부모가족·조손가족, 다문화가족, 북한이탈주민, 등록장애인,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근로장려금 수급자, 자활근로자

 

어떻게 가입할 수 있나요?

협약은행의 창구 방문 / 협약은행의 모바일 웹과 앱으로 가입 가능합니다. 하지만 은행 별로 창구 방문이 필수인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셔야 합니다. 

 

협약은행 현황 및 콜센터 전화번호를 알려드리겠습니다. 

BNK경남 (1600-8585), 광주(1600-000), KB국민(1588-9999), IBK기업(1588-2588), NH농협(1661-3000), DGB대구(1566-5050), BNK부산(1588-6200), SH수협(15--1515), 우리(1588-5000), 전북(1588-4477), 제주(1588-0079), 하나(1588-1111), 신한(1577-8000)

 

제출서류는 어떻게 되나요?

햇살론뱅크 이용을 위해서는 3개월이 넘게 재직 중 / 사업을 영위 중이거나 1회 이상의 연금을 수령하였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구분 재직/사업증빙 (택1) 소득증빙 (택1)
공통사항 ㅇ 현재 3개월 이상 재직·사업영위, 1회 이상 연금수령 확인할 수 있는 서류
ㅇ 각 증빙서류는 보증신청일 기준 1개월 이내에 발급된 것만 인정
직업

소득
근로소득자 ①재직증명서(사업자등록증첨부), 공무원증 등 재직확인 서류
②국민연금 가입자 증명서
③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①소득금액증명원(세무서발급)
②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연말정산용) 및 최근 3개월간의 월급여 입금통장
③국민건강보험 ‘건강·장기요양보험 보험료 납부 확인서’
④국민연금‘연금산정용 가입내역 확인서’
⑤급여내역이 포함된 확인서* 및 최근 3개월간의 월급여 입금통장
* 재직회사가 날인한 급여명세표, 임금대장, 갑근세원천징수확인서 등
사업소득자
중 
등록사업자
사업자등록증(사본) 또는 사업자등록증명원
※ 미등록, 휴·폐업인 경우 인정불가
①소득금액증명원(세무서발급)
②종합소득세 과세표준 확정신고 및 납부계산서(세무사 확인분)
③국민건강보험 ‘건강·장기요양보험 보험료 납부 확인서’
④국민연금 ‘연금산정용 가입내역 확인서’
사업소득자
중 
미등록사업자
현 직장에서 발급한 재직사실확인서(고용계약서, 위촉증명서, 재직증명서 등)와 재직회사의 사업자등록증
※ 단, 생명·손해보험사의 설계사의 경우 사업자등록증 징구 제외
①소득금액증명원(세무서발급)
②사업소득원천징수영수증(연말정산용) 및 최근 3개월간의 월급여 입금통장
③거주자의 사업소득 원천징수 영수증 및 최근 3개월간의 월급여 입금통장
④종합소득세 과세표준 확정신고 및 납부계산서(세무사 확인분)
⑤국민건강보험 '건강·장기요양보험 보험료 납부 확인서'
⑥국민연금 '연금산정용 가입내역 확인서'
연금소득자 ①연금수급증서(국민/공무원/군인/사학연금)
②연금수급권자 확인서
③연금기관에서 발급한 지급내역서 등 확인서류
※ 공적연금(국민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사학연금)에 한함
①연금기관에서 발급한 지급내역서 등 확인서류
②연금수령통장*
* 연금 지급내역서 등 확인서류에 연금수령액이 표기되지 않는 경우 연금수령통장 사본 제출
유의사항 1. 인터넷으로 발급한 소득금액증명원이나 보험료납부확인서 등의 진위여부 확인 후 원본으로 인정
2. 재직증명서와 재직사실확인서로 재직확인 시 재직회사의 사업자등록증 첨부
3. 급여통장 사본의 경우 인터넷뱅킹 출력본 미인정, 통장거래내역서(은행직인필) 또는 은행 ARS에서 직접 팩스 송부본 인정
4. 근로소득자의 경우 급여명세표에 소득세 포함한 공제내역 미존재 시 인정 불가
5. ‘건강·장기요양보험료 납부확인서’ 상 최종납부일자가 같은 날짜(일시납)일 경우 인정불가
※ 인터넷·FAX 출력분은 창구에서 건보공단(1577-1000)으로부터 직접 수령하여 확인
6. 종합소득세 과세표준 확정신고 및 납부계산서는 본인직접신고의 경우 접수증 추가하여 인정 가능
※ 고용관계가 증빙되지 않는 일시적인 소득인 기타소득원천징수영수증은 인정 불가
7. 종합소득세 과세표준 확정 신고서는 종합소득세 신고 후 확정 전 소득금액증명원이 발급되지 않는 기간(5월)에만 보충적으로 인정

 

728x90

댓글